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블로그 운영 팁
- 청년
- 정부 지원금
- 청년지원금
- 청년저축
- 청년재테크
- 앵커 광고 OFF
- 복지로 신청
- 청년내일저축계좌
- 모바일 전면광고 금지
- 청년복지
- 화성시 #광역콜버스 #카카오T #동탄 #사당역 #좌석예약
- 2차소비쿠폰 #정부지원금 #소비지원정책 #2025지원금 #소득하위90 #모바일쿠폰 #재난지원금 #서민경제지원 #지역화폐 #행정안전부
- 노후준비
- 스마트폰 추천
- 모바일 전면광고
- 자유여행
- 자산형성
- 경주
- 화성시 동탄 향남 공항버스
- 2025 청년지원
- #가족나들이
- 국민연금
- 오퍼월 광고 해제
- 콘텐츠 마케팅
- 2025 지원금
- 블로그 설정 가이드
- #여름축제추천
- 홈페이지형 블로그
- 청년 통장
- Today
- Total
인사이트 아틀라스 ::: Insight Atlas
"읽기예보: 오늘 읽음, 내일 맑음 – 서울시 2025 독서의 달 기념" 본문

서울시 2025 독서의 달 — 1,600여 개 독서문화 프로그램 총정리!
읽기예보 : 오늘 읽음, 내일 맑음 슬로건 아래 열리는 한 달간의 독서 축제
독서의 계절, 가을이 성큼 다가왔습니다! 📚
서울시 전역에서 펼쳐지는 ‘2025 독서의 달’ 행사는 단순히 책을 읽는 것을 넘어, 책을 통해 사람을 만나고, 이야기를 나누고, 감동을 나누는 소중한 시간으로 가득 채워질 예정인데요.
오늘은 서울도서관을 비롯한 217개 공공도서관과 서울형 책방 48곳에서 준비한 총 1,600여 개 프로그램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해드릴게요.

목차
1. 서울도서관 금요 야간 북토크 일정
서울도서관에서는 ‘읽고 쓰기의 향연’을 주제로 매주 금요일 밤마다 특별한 방구석 북토크가 열립니다. 이 프로그램은 서울시 대표 야간문화 프로젝트 ‘문화로 야금야금(夜金)’과 함께 기획되어, 깊은 인문학적 통찰과 감성을 나눌 수 있는 소중한 시간으로 꾸며질 예정입니다.
강연 장소: 서울도서관 1층 생각마루
시간: 매주 금요일 저녁 7시 (9월 5일, 12일, 19일)
참여방법: 서울도서관 누리집 또는 서울야외도서관 누리집에서 선착순 접수 (80명 한정)
현장 접수: 미참여 좌석(노쇼)에 한해 당일 현장 접수 가능
- 9월 5일: 고도원 작가 - 「누구든 글쓰기」
- 9월 12일: 시네이드 모리아티 - 「텍스트 힙, 글쓰기의 힘을 말하다」
- 9월 19일: 문지혁 작가 - 「쓰는 용기, 읽는 기쁨」
2. 서울야외도서관 ‘책멍’ 프로그램 소개
더위가 물러간 9월, 서울야외도서관이 다시 문을 엽니다! 🍂 가을 햇살 아래 책에 푹 빠져 ‘멍~’하듯 몰입할 수 있는 특별한 프로그램, ‘책멍’이 마련되어 있어요. 바쁜 일상 속에서 조용히 책을 읽으며 스스로를 충전하는 시간, 함께 참여해보세요!
일정 | 행사명 | 장소 | 특징 |
---|---|---|---|
9월 5일(금) | ON-AIR 책멍 | 청계천 책읽는 맑은냇가 | 자연 속 라이브 독서 체험 |
9월 말 예정 | 야(夜)한 책멍 | 서울광장 책읽는 서울광장 | 도심 야경과 함께하는 책읽기 |
3. 자치구 공공도서관 북 페스티벌
서울시 24개 자치구의 공공도서관에서도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북 페스티벌이 다채롭게 펼쳐집니다.
단순한 책 소개를 넘어, 작가와의 만남, 북콘서트, 전시, 영화 상영 등 문화와 예술이 어우러진 복합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어요.
- 광진구: 김애란 작가 초청 북콘서트
- 동작구: 성해나 작가와의 만남
- 노원구: 정세랑 작가 & 옥상달빛의 인문학 북콘서트
- 이외에도 서울 전역에서 총 1,552개 프로그램 운영 예정!
가까운 동네 도서관에서 열리는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해보세요.
우리 동네에서 만나는 인문학, 생각보다 더 가까이 있습니다. 😊
4. 서울형 책방 프로그램 일정
서울의 숨은 보석 같은 독립서점, 바로 서울형 책방에서도 다양한 독서문화 프로그램이 진행됩니다. 총 48곳의 서점에서 92개의 프로그램이 마련되어 있어, 우리 동네 책방에서 작가와 직접 이야기 나누는 소중한 기회를 누릴 수 있어요.
- 9월 12일(금), 은평구 ‘책방 시나브로’: 이주란 작가와 함께하는 북토크 「영원한 여름」
- 9월 23일(화), 강남구 ‘깍지모모 북 아지트’: 그림책 작가 한라경과의 글쓰기 프로그램 「나를 꺼내는 한 줄」
- 9월 6일(토), 광화문책마당 실내라운지: 『울리의 하루』 작가와 그림책 인형 만들기 체험
작은 공간이지만 깊은 감동을 주는 동네책방의 프로그램들, 혼자 가도 좋고, 아이와 함께여도 좋습니다.📖
5. 프로그램 참여 방법 및 예약 안내
모든 프로그램은 사전 신청을 우선으로 운영되며, 일부 프로그램은 현장 참여도 가능합니다.
특히 인기 있는 작가 강연이나 창작 체험 프로그램은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미리미리 신청하세요!
구분 | 신청 방법 | 비고 |
---|---|---|
서울도서관 북토크 | 서울도서관 누리집(lib.seoul.go.kr) | 선착순 80명, 노쇼 좌석은 현장 접수 |
서울야외도서관 책멍 | 서울야외도서관 누리집(seouloutdoorlibrary.kr) | 행사별 일정 확인 필수 |
자치구 북 페스티벌 | 각 도서관 누리집 | 자치구별 별도 운영 |
서울형 책방 | 각 책방 SNS 및 홈페이지 | 전화 또는 DM 신청 가능 |
6. 참고 링크 및 도서관 정보
모든 프로그램의 자세한 일정과 내용은 아래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일정, 신청 방법, 장소 등 꼼꼼히 확인하시고 즐거운 독서 문화의 달을 보내보세요! 😊
- 서울도서관 누리집: https://lib.seoul.go.kr
- 서울야외도서관 누리집: https://seouloutdoorlibrary.kr
- 각 공공도서관 홈페이지 및 SNS: 해당 도서관 검색 후 확인
붙임 자료로 제공된 참여 도서관 목록도 서울도서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
📌 자주 묻는 질문 (FAQ)
- Q1. 프로그램 참가비가 있나요?
- A.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무료로 운영되며, 일부 체험형 프로그램만 재료비가 발생할 수 있어요. 해당 정보는 각 신청 페이지에 안내되어 있습니다.
- Q2. 어린이도 참여 가능한가요?
- A. 물론입니다! 그림책 만들기, 작가와의 만남, 가족 독서 행사 등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준비되어 있어요.
- Q3. 사전 예약 없이 현장 참여도 가능한가요?
- A. 현장 접수는 좌석이 남는 경우에 한해 가능합니다. 특히 인기 있는 작가 강연은 조기 마감될 수 있으니 사전 예약을 추천드려요!
- Q4. 서울 시민만 참여할 수 있나요?
- A. 아니요! 서울시민뿐만 아니라 누구나 참여 가능하며, 타 지역 거주자도 환영합니다. 서울에서의 특별한 책 문화 체험을 함께 누려보세요.
- Q5. 행사 사진 촬영이나 기록이 가능한가요?
- A. 프로그램 성격에 따라 다르며, 대부분 비상업적 목적의 개인 촬영은 허용됩니다. 단, 작가 강연 시에는 사전 안내에 따라주세요.
- Q6. 프로그램 변경이나 취소 시 어떻게 알 수 있나요?
- A. 서울도서관 및 서울야외도서관 누리집, SNS 채널을 통해 실시간 공지됩니다. 참여 전 꼭 확인해 주세요!
📚 마무리하며
한 권의 책은 때로 삶을 바꾸는 놀라운 시작이 되곤 합니다. 이번 2025년 9월, 서울 곳곳에서 펼쳐지는 1,600여 개의 독서문화 프로그램을 통해 여러분도 새로운 나를 만나보는 시간이 되시길 바랍니다.
글을 쓰고, 소리내어 읽고, 조용히 혼자 집중하는 순간들. 이 모든 것이 결국 우리를 더 풍요롭고 따뜻하게 만들어주는 힘이 아닐까요?
이번 가을, 책과 함께 당신만의 맑은 하루를 선물받으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
🍂 읽기예보: 오늘 읽음, 내일 맑음 — 지금 바로 나만의 독서 여행을 떠나보세요!
'전국축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 순천 동천야광축제 안내 (25) | 2025.08.08 |
---|---|
2025 임실 치즈테마파크 여름 축제 가이드 (4) | 2025.08.06 |
2025 화담숲 수국축제, 여름 숲속에서 만나는 수국 향연 (14) | 2025.08.06 |
2025 안동 월영야행, 밤에 떠나는 전통문화 여행 (43) | 2025.08.05 |
2025 한강페스티벌 축제의 모든 것 (2) | 2025.08.01 |